가입 기간을 3년으로 단축한 내일채움공제가 2025년 2월에 출시되었습니다.
입사한 직장에서 3년만 꾸준히 다니면 최대 3,000만원 이상 목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.
1. 2025년 내일채움공제 3년형
근로자가 기업에서 근속하는동안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며 근로자, 기업, 정부가 공동으로 적립하는 방식입니다.
기간은 3년으로 줄었지만 혜택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으며, 만기 시에는 최소 1,224만 원에서 최대 3,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또한, 비과세 혜택이 그대로 유지되며, 기업이 납입한 공제금은 비용으로 인정되어 세제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
2. 납입액 및 예상수령액
✔ 정부와 기업의 지원금은 근로자의 납입 금액에 따라 결정됩니다.
✔ 납입액이 높을수록 만기 시 수령액이 커지는 구조입니다.
📌 개인의 재무 상태와 목표를 고려하여 본인에게 적절한 납입 금액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3. 주요 혜택
✅ 근로자
🔹 3년 후 본인 적립금, 기업 적립금, 정부 지원금, 이자를 포함한 목돈 수령.
🔹 비과세 혜택 적용으로 실질적인 수익률 상승
🔹 3년 이상 재직 시 장기근속 인센티브 및 추가 혜택
✅ 기업
🔹 기업이 납입하는 금액은 기업 비용으로 인정. 법인세 절감 효과
🔹 핵심 인력의 장기근속을 유도 및 직원 이탈 방지
🔹 정부 정책 자금 및 보조금 신청 시 가점
📌 기존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재직자 내일채움공제 가입 근로자도 만기 시 내일채움공제 재가입이 가능합니다.
4.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
✅ 근로자 가입 조건
✔ 연령제한 없음
✔ 사업자등록증 보유하지 않은 자 (임대업 제외)
✅ 기업 가입 조건
✔ 고용보험 가입된 중소·중견기업 (대기업 및 공공기관 참여 불가)
✔ 5인 이상 사업장 (벤처기업·지식서비스산업·문화콘텐츠산업 등 일부 업종에 한해 가능)
📌 유흥·도박 관련 업종은 가입 대상에서 제외
✅ 신청 방법
✔ 온라인 :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신청
✔ 오프라인 :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34개 지역본부 혹인 신한/우리/기업은행 영업점 방문 접수
📌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가입해야 하는 상품이기 때문에, 근로자는 기업과 사전 협의 후 신청하시면 됩니다.
💡 문의사항 : ☎ 1588-6259
5. 중도 해지 시
📌 가입 후 중도 해지할 경우는 기업 납입금 및 일부 혜택이 미지급되니 신중하게 가입하시고, 가급적 만기시까지 유지하시기 바랍니다.
📢 내일채움공제와 청년 내일채움공제가 동일한 상품인지 다른 상품인지 구분이 잘 안되는데요, 청년 내일채움공제 사업은 종료되어서 가입불가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'2025 정부지원금 사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FAQ (3) | 2025.04.07 |
---|---|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장기고용인센티브 신청방법 (0) | 2025.03.12 |
현장실습 훈련(시니어인턴십) 사업 신청 안내 (0) | 2025.03.12 |
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 안내 및 신청 방법 (0) | 2025.02.23 |